13 - 암호화폐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 방법 (월릿 월렛 wallet 계좌 주소)
#13 암호화폐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 방법 (월릿 월렛 wallet 계좌 주소)
암호화폐를 소유하려면 은행 계좌와 같은 무언가가 필요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지갑이라고 부르는 아래와 같은 형태의 주소이며 지갑(계좌) 의 암호에 해당하는 개인키(private key) 도 별도로 존재한다.
☞ 지갑 주소 예 : 2SdUEDbQDTaecF38CDHJTgCAetaCeTaZmjn98
내 지갑에서 다른 사람의 지갑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금(거래) 하면 블록체인상에 이러한 내용이 기록되는데, 앞서 블록체인을 설명하며 얘기했듯이 암호화폐를 주고받을 때는 기존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내용과 대조하며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송금 버튼을 누른다고 해서 빛의 속도로 송금이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몇 분에서 몇 시간이 걸리는 검증과 승인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코인 거래가 계속 이루어지며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가 늘어날수록 송금 시간은 더 길어질 수도 있으나 송금 수수료를 많이 지불하면 검증(채굴) 하는 사람들의 컴퓨터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해 주기 때문에 송금이 빨리 된다.
코인마다 사용하는 지갑이 다른데 이는 메인넷 플랫폼이 서로 다르니 당연한 것이다. 이더리움 기반 토큰의 경우 Metamask, MyEtherWallet, Trezor, Exodus 등의 지갑을 사용하면 되며 지갑별로 특징이 있다. 우리는 암호화폐 지갑을 처음 만들어 보는 것이니 만들기 간단한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형식의 메타마스크 지갑을 만들어보도록 하겠다.
1.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메타마스크 검색 후 클릭
2.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설치 (Chrome에 추가 버튼 클릭)
3. 시작하기 클릭 → 지갑생성 클릭 (화면 모양은 조금씩 다를 수 있음)
↓
4. 내용을 잘 읽어보고 프로그램 개선에 참여할 사람은 '동의함' 클릭, 아니라면 '괜찮습니다' 클릭
5. 비밀번호 지정 후 생성 클릭
6. 중요한 내용이니 시청 후 다음 클릭
7. 자물쇠 모양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단어들은 지갑을 복구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는 곳에 잘 보관해야 하며 이 시드 구문(Seed Phrase) 이 저장된 파일을 압축하며 암호를 걸어서 클라우드나 이메일에 보관하거나 종이에 적어서 숨겨 놓는 등의 방법이 있다. 이 단어들의 조합이 털리면 지갑에 있는 코인도 모두 털리는 것이니 잘 지켜야 한다. 콜드월렛(Cold Wallet) 이라 불리는 하드웨어 형태의 지갑을 구매하여 오프라인에 보관하는 방법도 있다. (지금처럼 메타마스크 같은 온라인 지갑에 연결하는 방식은 핫월렛(Hot Wallet) 이라고 한다.)
8. 이제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가 완료됐다. 아래 이미지에 안내된 버튼들을 눌러서 내 지갑 주소를 복사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9. 토큰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서 자산 목록에 새로운 토큰을 추가할 수 있다.
10. 새로운 네트워크를 추가할 수도 있다.
11. 연습으로 메타디움(META) 토큰을 추가해 보겠다. '네트워크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하자.
네트워크 이름 | META MainNet |
새 RPC URL | https://api.metadium.com/prod |
체인 ID | 11 |
통화기호 | META |
12. 항목을 모두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목록에 META 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3.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여우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언제든 메타마스크를 실행할 수 있다.
※ 이렇게 만든 개인용 지갑과 코인 거래소에 가입하여 만들 수 있는 지갑 주소는 다른 것이다. 거래소에서 제공해 주는 지갑 주소는 거래소가 관리하는 지갑을 별도로 생성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거래소가 해킹 당하면 그 지갑도 털린다. 거래소가 망해도 털릴 수 있고 못된 거래소가 고의적으로 코인을 빼돌릴 수 있는 위험도 존재한다는 것을 잊지 말고 코인을 잘 관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