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며 나중에 보기 편하게 정리하는 느낌으로 글을 써 나갈 예정입니다.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근 몇 년간 계속해서 뉴스에 등장하며 화제가 되고 있는 암호화폐라는 것은 무엇일까? 가상화폐가 암호화폐인가? 이것들과 코인은 다른 건가? 이 정도도 모르고 살면 너무 시대에 뒤떨어지는 것 같기에 좀 알아보기로 했다.
1. 가상화폐 (virtual money, virtual currency)
사이버머니 또는 캐시라고도 한다. 쉽게 말하면 예전에 유행했던 싸이월드의 '도토리' 가 가상화폐이다. 즉, 실제로 만질 수 있는 돈은 아니지만 인터넷에서 돈과 같은 역할을 하며 돈과 비슷한 가치를 가지는 가상의 화폐인 것이다. 이러한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사이트들은 은행처럼 서로 연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상화폐는 가상화폐를 만든 그 사이트에서만 이용된다. 이것이 진짜 돈과 가상화폐가 구별되는 부분이다.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처럼 현금으로 먼저 충전해 놓고 사용하는 방식도 가상화폐가 되겠다. 그럼 왜 쇼핑몰들이 자기만의 가상화폐를 만들까? 쇼핑몰 입장에서는 회원들이 미리 충전을 해 놓으면 그렇게 모인 엄청난 액수의 돈을 굴려서 이익을 낼 수 있다. 회원 입장에서는 이미 충전된 금액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어서 다른 쇼핑몰보다 더 자주 이용하게 될 것이고 쇼핑몰은 계속 이익을 내게 된다. (물론 충전에 대한 대가로 당근을 살살 뿌리겠지)
2. 암호화폐 (암호 crypto + 통화 currency = 암호화폐 Cryptocurrency)
우리가 자주 들어본 '비트코인' 이 대표적인 암호화폐이며 간단하게 '코인' 이라 부르기도 한다. 가상화폐 중에서 페이팔 처럼 실제로 화폐화되어 쓰일 수 있는 것들은 '전자화폐' 라고 하는데 그중 '암호화' 되어 화폐의 생산 주체(은행) 라는 개념이 사라진 것을 암호화폐라고 한다.
3. 블록체인 (block chain)
암호화폐 설명이 좀 어려운 것 같으니 다시 설명해 보겠다. 페이팔은 이용자가 페이팔에 돈을 송금해서 예치한 후 쇼핑몰 결제나 송금에 이용하는 일종의 인터넷 은행(중계자) 같은 사이트이다. 즉 실제 돈이 이용된다. 그러나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는 실제로 돈을 입금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블록체인이라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에서 화폐로 사용할 코인이 생성(발행) 되는 방식이다.
국민은행, 신한은행처럼 실제 은행이 존재하는 게 아니라 내 컴퓨터와 다른 수많은 컴퓨터가 연결(체인) 된 덩어리(블록) 만이 존재한다. 화폐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은행이 없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데이터들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누가 누구에게 코인을 보냈다 하는 것이 은행 서버에 기록되는 게 아니라 모두의 컴퓨터에 똑같이 기록되며 거래가 이루어질 때마다 서로의 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
지금의 은행들은 은행 서버가 해킹되면 난리가 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그러나 블록체인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를 해킹하려면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모두의 컴퓨터를 해킹해야 하는데 이는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이 안전하다고 하는 것이다.
'코인·암호화폐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 이더리움 (Ethereum) (1) | 2022.04.30 |
---|---|
05 - 무료 채굴앱이 뭐지? 나도 한번 해볼까? (0) | 2022.04.29 |
04 - 디앱, 댑 (DApp - Decentralized Application) (0) | 2022.04.29 |
03 - 메인넷(mainnet), 토큰(token) (1) | 2022.04.28 |
02 - 비트코인(bitcoin), 채굴(mining) 이 뭘까? (0) | 2022.04.27 |
댓글